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[코딩도장] Day1. 출력, 숫자 계산
    IT/파이썬 2020. 7. 31. 23:04

    ■ 들어가기

    - 파이썬 코딩 도장 (남재윤/길벗). 을 공부하며 정리하는 블로그


    1. 출력 : Hello, World

    - print() 함수를 사용하여 인자로 전달된 문자 출력

    - 문자는 작은따옴표('), 쌍따옴표(") 사용 가능

    >>> print('Hello, World!')
    Hello, World!
    >>> print("Hello, World!")
    Hello, World!
    >>> print("Hello, McDonald's")
    Hello, McDonald's
    >>> print('Hello, "Tom"')
    Hello, "Tom"

     

    2. 주석(단일주석)

    >>> # 단일주석
    >>> print("Hello, World!")
    Hello, World!

     

    3. 정수 계산

    3.1 사칙연산 : +, -, *, /

    - 파이썬3에서 정수끼리 나눗셈(/)하면 결과가 실수로 나옴 (-> 파이썬2.7과의 차이점)

    파이썬3 파이썬2.7
    >>> 5 / 2.5
    2.0
    >>> 5 / 2
    2.5
    >>> 5 / 2.5
    2.0
    >>> 5 / 2
    2

     

    3.2 버림나눗셈 : //

    - 정수끼리 나눗셈 결과를 정수로 표현 (소수점 이하 버림)

    - 실수에 사용 시 결과는 항상 ".0" 으로 끝나는 실수로 표현

    >>> 5.5 // 2
    2.0
    >>> 4 // 2.0
    2.0
    >>> 4.1 // 2.1
    1.0
    >>> 19 // 3
    6
    >>> 4 // 2
    2

     

    3.3 나눗셈 나머지 구하기 : %

    - 나눗셈 결과 나머지 연산

    >>> 5 % 2
    1

     

    3.4 거듭제곱 : **

    >>> 2**10
    1024

     

    3.5 정수 표현 : int()

    - 계산식, 문자열, 숫자를 파라미터로 연산 결과 정수로 표현 가능

    >>> int(3.3) # 숫자
    3
    >>> int (5/2) # 계산식
    2
    >>> int("10") # 문자열
    10

    3.5.1 실수 표현 : float()

    - 계산식, 문자열, 숫자를 파라미터로 연산 결과 정수로 표현 가능

    >>> float(3) # 숫자
    3.0
    >>> float(3.3) # 숫자
    3.3
    >>> float(1+1) # 계산식
    2.0
    >>> float(1+2.1) # 계산식
    3.1
    >>> float("10.3") # 문자열
    10.3

     

    3.6 자료형 확인 : type()

    - class는 객체를 의미

    >>> type(10)
    <class 'int'>
    >>> type("10")
    <class 'str'>
    >>> type(3.3)
    <class 'float'>

     

    3.7 몫, 나머지 함께 구하기 : divmod()

    - 5를 2로 나눌 경우 "몫: 2, 나머지: 1" 이며 결과는 (2, 1) 형태로 표기

    - (2, 1) 과 같은 형태는 "튜플(tuple)"이라고 하고, 값 여러개 모아서 표현할 때 사용

    >>> divmod(5, 2)
    (2, 1)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